📢 "육아휴직 최대 3년 가능! 부모 모두 혜택 확대"
2025년 2월 23일부터 맞벌이 부부가 자녀 한 명당 최대 3년까지 육아휴직 사용 가능!
기존 2년에서 1년이 추가 연장되어 부모 각각 1년 6개월씩 사용할 수 있습니다.
또한 배우자 출산휴가, 난임 치료휴가,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등 다양한 제도도 함께 확대되었으니,
맞벌이 가정이라면 반드시 확인해야 할 2025년 육아 지원 정책 개편 내용을 지금 살펴보세요!
✅ 2025년 달라지는 육아휴직 제도 적용 예시
📌 1) 맞벌이 부부 육아휴직 최대 3년까지 가능!
기존에는 부모가 각각 1년씩 총 2년만 사용할 수 있었지만,
2025년부터 부모 각각 1년 6개월씩 총 3년까지 사용 가능합니다.
✔ 적용 대상: 모든 근로자(자녀 한 명당 부모 합산 최대 3년까지 사용 가능)
✔ 변경 내용: 육아휴직 사용 기간 2년 → 3년으로 연장
✔ 급여 지급: 기존과 동일하게 월 최대 160만 원 지급
✔ 배우자와 함께 사용 시: 첫 3개월 급여 100% 지원(최대 450만 원) 유지
📌 2) 배우자 출산휴가 20일로 확대
✔ 기존: 배우자 출산휴가 10일
✔ 개정: 배우자 출산휴가 20일로 확대
✔ 급여 지원:
- 중소기업 근로자 급여 지원 기간도 5일 → 20일로 확대
- 출산휴가 기간 중 최소 5일 이상 유급으로 보장
🔎 적용 예시
- 이미 10일을 모두 사용했고, 청구기한(90일)이 지났다면? ❌ 적용 X
- 5일만 사용했고, 청구기한이 90일 이내라면? ✅ 추가 10일 사용 가능
- 90일이 지나기 전에 휴가를 개시한 경우? ✅ 적용 가능
💡 출산 직후 배우자의 적극적인 육아 참여를 지원하는 정책!
📌 3)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확대
✔ 기존: 자녀 8세 이하(초등학교 2학년 이하)까지 사용 가능
✔ 개정: 자녀 12세 이하(초등학교 6학년 이하)까지 확대
✔ 육아휴직 미사용 기간 두 배 가산 가능!
- 기존에는 육아휴직 미사용 기간이 1년이면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1년 추가 가능
- 이제는 2년 추가 가능 (총 3년까지 근로시간 단축 가능)
🔎 적용 예시
- 기존 육아휴직 1년을 사용하고, 근로시간 단축 1년 사용 중이라면?
→ 추가로 1년 더 사용 가능 (기존 6개월 추가 × 2배 = 1년 연장 가능!) -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을 모두 사용했고, 육아휴직을 사용하지 않았다면?
→ 최대 3년까지 근로시간 단축 사용 가능!
💡 맞벌이 부부가 육아휴직을 모두 사용한 후에도 근로시간을 단축하여 육아에 집중할 수 있는 기회 확대!
📌 4) 난임 치료휴가 6일로 확대 (유급 3일 보장!)
✔ 기존: 난임 치료휴가 2일(모두 무급)
✔ 개정: 난임 치료휴가 6일로 확대 (이 중 3일 유급 보장!)
🔎 적용 예시
- 기존 2일을 모두 사용했지만, 휴가 청구 가능 기한 내라면?
→ 추가 4일 사용 가능 (이 중 3일은 유급) - 기존 2일을 모두 사용했고, 청구 기한이 지났다면?
→ 적용 X (추가 휴가 불가) - 휴가를 사용하지 않았다면?
→ 최대 6일 사용 가능 (이 중 3일은 유급)
💡 난임 치료를 위한 의료 지원을 강화하여 일과 가정을 양립할 수 있도록 지원!
📌 출산휴가·육아휴직 통합신청 제도 신설
📍 1) 도입 배경
✅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을 한 번에 신청 가능하도록 제도 개선
✅ 근로자의 신청 부담 완화 & 사업주의 육아휴직 예측 가능성 증가
📍 2) 통합신청 방법
✅ 근로자:
- 출산휴가 신청 시, 육아휴직 신청서도 함께 제출 가능
- 휴직 개시 30일 전까지 신청 (예외적 경우 7일 전까지 가능)
- 사업주는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을 허용해야 하며, 필요 시 자녀 출생 정보 확인 가능
✅ 사업주:
- 14일 이내 서면으로 허용 의사 통지 필수 (전자문서, 이메일, 문자, 카카오톡 가능)
- 기한 내 응답하지 않으면 자동 승인 처리
💡 출산휴가 후 바로 육아휴직을 사용할 계획이라면, 통합 신청으로 절차 간소화 가능!
통합신청서 서식 및 제도 개요 안내 바로가기 (일생활균형누리집)
📌 육아휴직 신청 방법 및 유의사항
✅ 신청 대상: 자녀 12세 이하 근로 부모
✅ 신청 방법:
- 사업장 담당자에게 육아휴직 신청서 제출 후 승인
- 고용보험 홈페이지 또는 일생활균형 누리집에서 추가 신청 가능
✅ 관련 문의:
📝 자주 묻는 질문 (FAQ)
1️⃣ 육아휴직 3년 연장 적용은 모든 부모에게 해당되나요?
✅ 맞벌이 부부뿐만 아니라 모든 근로 부모에게 적용됩니다.
✅ 단, 부모 각각 최대 1년 6개월까지 사용 가능하며, 합산 3년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.
2️⃣ 배우자 출산휴가를 이미 10일 사용했는데 추가 사용 가능할까요?
✅ 90일 이내 청구 기한이 남아 있다면 추가 10일 사용 가능!
❌ 이미 10일 사용하고 90일이 지난 경우는 적용 불가.
3️⃣ 난임 치료휴가 유급 3일은 모든 직장에 적용되나요?
✅ 모든 직장 적용!
✅ 총 6일 중 3일은 유급, 나머지 3일은 무급으로 제공됩니다.
4️⃣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을 최대 3년까지 사용할 수 있는 조건은?
✅ 육아휴직을 사용하지 않은 기간이 있어야 두 배 가산 가능!
✅ 예를 들어, 육아휴직을 1년 사용하고 근로시간 단축을 1년 사용했다면 → 추가 1년 연장 가능
2025 육아지원제도 관련 고용노동부 자주묻는 질문과 답변 확인하기
🚀 맞벌이 부부의 육아 부담을 줄이고,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이 늘어납니다!
2025년부터 달라지는 육아휴직 혜택을 놓치지 말고 적극 활용하세요.